
위성통신의 정의
· 위성통신이란 우주공간에 있는 인공위성 등에 설치한 우주국을 매개로 하여 지상의 복수지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을 말합니다.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무선통신규칙에 따르면 우주국을 이용하는 통신을 총칭해서 우주무선통신이라고 하고, 여기에는 우주국과 지구국 사이의 통신, 우주국 상호간의 통신, 지구국 상호간의 통신 등 3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중 지구국 상호간의 통신형태를 특히 위성통신이라고 합니다.


위성통신의 특징

시스템 구성

주파수 분배 및 활용분야
구분(Band) | 주파수대역(㎓) | 특 징 | 활용분야 |
---|---|---|---|
L | 1~2 | 전파손실이 적음 소형 단말 이용 가능 |
이동통신서비스 |
S | 2~4 | ||
C | 4~8 | 적절한 대역폭 상용 위성 많음 강우감쇠 무시 가능 대형 지구국 안테나 |
고정통신서비스 DTH |
X | 8~12 | 적절한 대역폭 강우감쇠 발생 중형 지구국 안테나 |
고정통신서비스 이동통신서비스 |
Ku | 12~18 | 적절한 대역폭 강우감쇠 심각 소형 지구국 안테나 |
고정통신서비스 DBS, DTH |
K | 18~27 | 넓은 대역폭 강우감쇠 매우 심각 초소형 지구국 안테나 |
고정통신서비스 |
Ka | 27~40 | ||
V | 40~75 | 연구실험단계 | 실험위성 |
인공위성의 분류
· 용도별로는 통신위성, 관측위성, 과학위성, 군사위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고도별로는 저궤도, 중궤도, 고궤도 위성으로, 궤도별로는 극궤도, 정지궤도, 경사궤도 위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통신위성에는 고정통신위성, 방송위성 및 이동통신위성이 있습니다. 고정통신위성은 고정된 지상국간의 통신 중계에 이용되는 위성으로, 이용지역 범위에 따라 국제통신위성, 지역통신위성, 국내통신위성으로 분류되고, 방송위성은 지상국으로부터 수신한 TV프로그램 신호를 각 가정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방송에 이용되는 위성이며, 선박, 항공기, 차량 등 이동체간 및 이동체와 각 가정에서 직접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통신에 이용되는 것이 이동통신위성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위성인 무궁화 위성은 통신과 방송위성 기능을 겸비한 복합위성입니다.
· 관측위성은 각종 지상변화의 관측에 이용되는 위성을 말합니다. 종류에는 선박, 항공기 등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관제국측이 선박, 항공기 등 이동체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항행위성, 우주로부터 기상을 관측하는 기상위성, 지구측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측지위성, 지구표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지구관측위성 등이 있습니다.
· 과학위성은 우주의 관측을 목적으로 제작된 위성이며, 블랙홀과 관계 있는 X선 폭발, 신성의 폭발 등 다양한 관측목적을 지닌 우주관측위성과 외혹성 탐사를 목적으로 하는 탐사위성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군사위성은 실용위성의 일종으로써 사진정찰위성, 전자정찰위성, 해상감시위성, 조기경계위성, 핵폭발탐지위성, 요격위성 등이 있으며, 이러한 특유의 군사목적 위성 외에도 민간의 통신, 기상해사, 측지위성 등이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인공위성
· 무궁화 위성(1,2,3,5호)
궤도 : 36,000㎞(정지궤도)
임무 : 통신 및 방송중계

· 우리별 위성(1,2,3호)
궤도 : 1,300㎞(1호), 820㎞(2호), 720㎞(3호)
임무 : 지구표면촬영, 통신 및 우주실험

· 다목적 실용위성(1,2호)
궤도 : 685㎞
임무 : 해양관측, 과학실험, 지구정밀관측 및 GIS구축

위성통신 기술의 발전전망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