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안녕 세윤아, 이거 테스트좀 도와줘라~
이게 뭐야? 갑자기 웬 무전기야?
지난번에 우리 부서에서 등산 갈 때 전화가 잘 안돼서 불편하길래 해외 직구로 하나 샀어. 산 정상에 있어도 산 아래에 있는 사람이랑도 교신이 잘 된대. 잘 되나 한 번 봐줄래?
그래!
아! 아! 하나둘셋, 하나둘셋. 어때? 잘 들리는거 같아?
오 잘들려! 뭔가 해외에서 구입한 거라 그런지 잘 되는거 같애.
근데 이 차는 왜 자꾸 문이 열렸다 잠겼다 하는거야? 자꾸 신경쓰이게 말이야..
그러게? 갑자기 무슨 고장이라도 났나
잠깐만요! 선생님~ 중앙전파관리소에서 나왔습니다. 이 주변에서 혼신이 발생되어 출동하였습니다. 혹시 방금 무선 기기를 사용하셨나요?
무선기기라면 이 무전기 말인가요? 이번에 새로 구입한 거라 잠깐 테스트 하긴 했는데...
제가 잠시 한번 살펴봐도 될까요? 음.. 이 제품은 전파를 불법으로 사용하는 제품이네요! 이런 제품은 쓰시면 안됩니다.
네? 전파를 불법으로 사용한다구요? 그게 무슨말이죠?
MC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뻔펀한 전파’의 김은정입니다.
조금전 보신 장면은 불법 무전기에서 나온 전파가 차량개폐장치에 혼신을 일으킨 상황을 가정해서 만든 장면인데요
그렇다면 과연 이 불법 전파와 혼신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 줄 분을 모셔왔습니다.
바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에 근무하는 박진교 주무관입니다.
MC : 주무관님 안녕하세요?
주무관 : 네 안녕하세요! 중앙전파관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진교주무관입니다
MC : 주무관님, 요즘 전파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정말 전파가 뭔가요?
주무관 : 네.. 이 전파를 쉽게 설명드리는게 정말 어려운 일인데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형체가 없기 때문이죠
주무관 : 하지만 전파도 바람이나 공기처럼 분명히 존재하고, 바람이 청정에너지로 활용되는 것처럼 전파도 자원으로 활용된다고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전파는 일정한 파동, 즉 우리가 주파수라고 하는 진동수를 가지면서, 공기를 통과하여 멀리 나아가는 성질이 있는데요,
이 성질로 인해 주로 방송과 통신 분야에 사용되고,
주파수에 따라 대역별로 선박, 항공, 라디오, TV, 위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MC : 아..그래도 조금 어렵거든요.. 아무튼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여러 전자제품들은 전파를 이용하고 있다. 이런건가요?
주무관 : 네. 좀 더 구체적으로 전파가 통신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말씀드려 볼게요.
통신은 말 그대로 두사람 이상이 정보 또는 의사를 주고받는 행위를 말하잖아요?
이를 위해서는 송신자와 수신자, 그리고 그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할 매개체가 필요한데요,
이때 전파가 그 매개체가 됩니다.
주무관 : 송신자가 보내는 정보는 안테나를 통해 다양한 모습의 전파로 변환되어서 공기를 통과하고,
수신자의 안테나에 도달해서 정보가 전달됩니다.
정보를 전달하는 전파는 마치 전선과 같은 역할을 하는거죠
MC : 네..말씀해 주신 내용을 들어보면 전파가 상당히 중요하네요!
주무관 : 네. 또한 전파는 자원의 특성도 갖고 있습니다.
주무관 : 일반적으로 우리가 경제적인 생산이나 일상생활 등에 이용하는 원료를 자원이라고 하는데요.
경제적인 생산 면에서는 전파를 이용하는 산업분야가 정말 많고,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는 전파를 이용해서 다양한 혜택을 누리고 있거든요.
이렇게 본다면 전파는 자원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무관 : 그리고 자원처럼 전파도 무한정 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전파에는 한정된 주파수 대역이 있는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TV와 라디오 등 서로 다른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가 없거든요.
그래서 아주 오래전부터 많은 나라에서 이 주파수 대역을 국가가 관리하고 있고,
주파수 대역을 기기마다 잘게 쪼개서 허가를 내주고 허가된 기기만 그 해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MC : 음~ 그럼 만약에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허가받은 기기와 허가받지 않은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주무관 : 네~ 기본적으로 수신자의 안테나는 수신되는 전파의 방향을 구분하지 못하고, 다만 안테나로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를 측정할 뿐입니다.
그래서, 허가받지 않은 불법기기가 동시에 전파를 발사한다면 수신자는 어떤 정보가 정상적인 기기가 보낸 정보인지 알아볼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바로 전파 혼신이라고 합니다.
MC : 아~네 그렇군요! 그 혼신이 바로 처음에 상황극에서 발생했던 현상이네요?
주무관 : 네 그렇습니다.
아까와 같은 상황에서는 무선 차키가 정상적인 기기가 되고, 해외에서 구입한 무전기가 불법기기가 되어서,
차 문을 열고 닫는 정상적인 행동을 방해한 것이죠.
주무관 : 이러한 혼신은 개인에게 발생한다면 단순한 불편함일 수 있겠지만,
해상·항공 분야에서 발생하게 된다면 그 위험성은 상상 이상일 것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백명의 목숨을 한 번에 앗아갈 수 있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MC : 어후.. 그런 큰 사고가 나면 정말 큰일이겠네요
그래서 이런 혼신이 일어나지 않게 국가기관이 전파를 관리해주고 있는거죠?
주무관 : 네 맞습니다. 우리 중앙전파관리소가 바로 이 전파를 관리하는 국가기관입니다.
MC : 네 이제 조금 이해가 되네요~
제가 주무관님 근무하시는 중앙전파관리소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니까, 그 외에도 하시는 일이 굉장히 많더라구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른 업무 설명도 부탁드릴게요!
오늘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주무관 : 네. 감사합니다!
MC : 네 지금까지 중앙전파관리소의 박진교 주무관님을 만나보았습니다.
앞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는 이게 불법 기기인지 잘 확인해보고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뻔펀한 전파의 김은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