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중앙전파관리소

e혁신 혁신24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메뉴 닫기
메뉴열기

알림

4차 산업혁명의 핵심자원인 전파
중앙전파관리소가 지켜가겠습니다.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

구분
중앙전파관리소
작성일
2023-02-02 (목)
조회수
7922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성과지표입니다

한눈에 알기쉬운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 1. 국내ㆍ외 SCI논문 질적수준. 2. ICT산업 생산(매출)액. 3. 세계적 수준 달성 전략기술 비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및 디지털 모법국가 실현을 목표로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를 선정ㆍ발표하였습니다. *대표 성과지표 및 이후 실적치 등은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ist.go.kr), '열린재정' 누리집(www.openfiscaldata.go.kr)을 공개예정. 

 1. 국내외 SCI논문 질적수준 2023년 목표 70.10점 이며 다음 그래프에서는 2023년 70.10점 에서 2026년 70.83점으로 올리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기초연구 역량 강화 및 첨단 전략기술 확보 등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여 ’26년까지 국내외 SCI논문 질적수준을 102%(20년 대비) 수준까지 높이겠습니다. 지표책임자: 기초원천연구정책관

 2. ICT산업 생산(매출)액 2023년 목표 546.1조원 이며 다음 그래프에서는 2023년 546.1조원 에서 2026년 70.83점으로 올리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 실현을 위해 디지털 융합확산 기반 조성 등 ICT산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26년까지 ICT 산업 생산(매출)액 587조원을 달성하겠습니다. 지표책임자: 정보통신산업정책관

 3. 세계적 수준 달성 전략기술 비율 중장기 2023년 목표 25.0% 이며, 다음 그래프에서는 2023년 25.0% 에서 2026년 33.3%으로 올리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집중 육성하고 민・관역량을 결집하여’2 6년까지 세계최고 수준(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90% 이상)의 초격차 기술을 4개 이상 확보하겠습니다. 지표책임자: 과학기술정책국장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 ① 국내ㆍ외 SCI논문 질적수준 과기정통부 주요R&D 사업 투자의 결과물인 SCI논문의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지수(mrnIF*)평균으로 R&D사업 운영의 질적 성과 측정 * 순위보정지수1), 2)의 최소값을 0, 최대값을 100으로 표준화한 것으로서, 지수값이 큰 저널일수록 해당분야 내에서 위상이 높음
1) 순위보정지수(rnIF,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 : 분야 내 특정 학술지가 차지하는 위상으로, 특정학술지가 분야 내 최상위인 경우 “1”의
값을, 최하위인 경우에는 “0”에 가까운 값을 가짐
2) 저널의 인용정보를 수치화한 영향력지수(IF, Impact Factor)가 높은 순으로 순위

지표의 추이 * 2022년 수치는 실적 집계 후 업데이트 예정 * 중복배제 [출처] 한국 연구재단 성과관리시스템(eR&D시스템) [mrnIF 추이] (단위:점) 아래의 그래프에는 2016년 68.80, 2017년 68.55, 2018년 68.87, 2019년 69.52, 2020년 69.36 으로 묘사되어 있다.

비교참고내용 다음 그래프는 직각형 그래프이며, 수직축에는 55, 60, 65, 70, 75의 단위가 표시되어 있고, 수평축에는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의 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연도별로 * 과기부 R&D mrnIF * 국가 R&D mrnIF 의 지표가 표시되어 있으며 단위는 점이다.
과기부 R&D mrnIF 지표는 다음과 같다. 2016년 68.80, 2017년 68.55, 2018년 68.87, 2019년 69.52, 2020년 69.36 이다. 국가 R&D mrnIF 의 지표는 다음과 같다. 2016년 59.86, 2017년 59.80, 2018년 60.23, 2019년 61.07, 2020년 62.10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 ② ICT산업 생산(매출)액. ICT실태조사에서 매년 발표하는 ICT산업 국내 생산(매출)액 측정 방법: ICT산업(정보통신방송기기, 정보통신방송서비스,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 매출 (생산)액의 합계 

 지표의 추이 * 2022년 수치는 실적 집계 후 업데이트 예정 ※ P : Preliminary (잠정치) [출처] 전수조사/ICT 실태조사(승인통계) 다음 그래프에서는 2017년 474.3, 2018년 504.6, 2019년 465.9, 2020P년 483.4, 2021P년, 528.7 의 지표가 묘사되어 있다. (단위는 조원이다)

 비교참고내용 [출처] ① OECD STAN(2022.8) ② Gartner(2022.10) [G7 국가별 ICT 생산규모①] (단위: 억달러, %) 다음 그림에서는 대한민국의 연도별 지표가 묘사되어 있다. 2017년 3247.5 9.1%, 2018년 3456.4 9.0%, 2019년 3132.6 8.6% 이다. 아래의 표에는 국가별 ICT산업규모와 비중이 연도별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 2017년도 ICT 산업 : 17781.5 비중 : 5.3 2018년도 ICT 산업 : 18982.7 5.3 2019년도 ICT 산업 : 19767.4 비중 : 5.4
일본 2017년도 ICT 산업 : 5666.0 비중 : 6.2 2018년도 ICT 산업 : 5936.4 비중 : 6.3 2019년도 ICT 산업 : 5912.6 비중 : 6.2
독일 2017년도 ICT 산업 : 3320.1 비중 : 4.9 2018년도 ICT 산업 : 3763.2 비중 : 5.1 2019년도 ICT 산업 : 3705.6 비중 : 5.2
한국 2017년도 ICT 산업 : 3247.5 비중 : 9.1 2018년도 ICT 산업 : 3456.4 비중 : 9.0 2019년도 ICT 산업 : 3132.6 비중 : 8.6
영국 2017년도 ICT 산업 : 2164.8 비중 : 4.7 2018년도 ICT 산업 : 2358.8 비중 : 4.7 2019년도 ICT 산업 : 2325.0 비중 : 4.7
프랑스 2017년도 ICT 산업 : 1971.8 비중 : 4.3 2018년도 ICT 산업 : 2139.8 비중 : 4.3 2019년도 ICT 산업 : 2171.9 비중 : 4.5
이탈리아 2017년도 ICT 산업 : 1845.5 비중 : 3.8 2018년도 ICT 산업 : 1945.2 비중 : 3.8 2019년도 ICT 산업 : 2083.8 비중 : 3.9
캐나다 2017년도 ICT 산업 : 1385.6 비중 : 3.7 2018년도 ICT 산업 : 1472.5 비중 : 3.7 2019년도 ICT 산업 : 1408.3 비중 : 3.7

[세계 IT 시장 전망②] (단위 : 십억 달러, %) 괄호 수치는 증감을 말한다. 아래 수직그래프는 다음의 형태로 묘사되어 있다. 수직축은 2000, 3000, 4000, 5000, 6000 단위이고, 수평축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이 있다. 2021년 4397(10.2), 2022년 4433(0.8), 2023년 4658(5.1), 2024년 5039(7.2), 2025년 5403(7.2), 2026년 5782(7.0)

과기정통부 재정사업 3대 대표 성과지표 ③ 세계적 수준 달성 전략기술 비율.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등에서 격년마다 발표하는 기술수준평가 중 국가전략기술분야에 해당하는 평가결과 [측정산식] 최고국 대비 90% 이상 기술수준 달성 분야 수 / 전략기술분야 수* *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과기정통부,’22.10.28.)

지표의 추이 * 2022년 수치는 실적 집계 후 업데이트 예정. 해당사항 없음

비교 참고내용 [국가전략기술별 기술수준 현황] 다음 수직형 그래프에는 막대형 그래프가 묘사되어 있다. 수직축은 0, 20, 40, 60, 80, 100이 있고, 수평축에는 인공지능, 차세대통신, 첨단바이오,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첨단로봇ㆍ제조, 양자, 우주항공ㆍ해양, 사이버보안, 차세대 원자력, 첨단 모빌리티가 있다.
인공지능 87.8%, 차세대통신 92.9%, 첨단바이오 76.0%, 반도체ㆍ디스플레이 91.3%, 이차전지 96.0%, 수소75.0%, 첨단로봇ㆍ제조76.6%, 양자62.5%, 우주항공ㆍ해양 68.4%, 사이버보안 87.0%, 차세대 원자력 82.5%, 첨단 모빌리티 81.0%

아래의 표에는 분야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가 도표로 제시되고 있다.

기술수준은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87.8%, 차세대통신 92.9%, 첨단바이오 76.0%, 반도체ㆍ디스플레이 91.3%, 이차전지 96.0%, 수소75.0%, 첨단로봇ㆍ제조76.6%, 양자62.5%, 우주항공ㆍ해양 68.4%, 사이버보안 87.0%, 차세대 원자력 82.5%, 첨단 모빌리티 81.0%

기술격차는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1.4년, 차세대통신 0.8년, 첨단바이오 3.5년, 반도체ㆍ디스플레이 1.1년, 이차전지 0.5년, 수소 3.0년, 첨단로봇ㆍ제조 3.1년, 양자 4.5년, 우주항공ㆍ해양 8.6년, 사이버보안 1.3년, 차세대 원자력 4.5년, 첨단 모빌리티 3.1년

[출처] 2020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 (KISTEP), 2020년 ICT기술수준 조사 및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IITP)

첨부파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표성과지표 홍보자료(인포그래픽).pdf 

PDF 뷰어 다운로드 한글 뷰어 다운로드




공공누리의 제1유형 : 출처표시
제1유형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립전파연구원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한국전파진흥협회
  • ICT 규제샌드박스
  • 안전신문고

중앙전파관리소

(우 05830)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234(가락동) 대표전화 : 02-3400-2000
전파이용CS센터 : 080-700-0074(무료) 팩스 : 02-3400-2124
Copyright ⓒ Central Radio Management Service.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